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2024년 7월부터 문화비 소득공제 항목이 확대되어,
    헬스장, 수영장 등의 체육시설 이용료가 연말정산 시 100% 소득공제됩니다.

   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근로자라면 별도 신청 없이 카드 결제만으로 자동 적용되며,
    올해 연말정산에서 세금 환급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.

    📚 제도 근거 및 적용 대상

    📌 근거법령: 조세특례제한법 제126조의2 (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 대한 소득공제)

    📌 적용 대상: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

    📌 공제 조건: 총 급여의 25% 초과 사용분부터 공제 가능

    ✅ 소득공제 대상 품목 (2024년 7월부터)

    한국문화정보원에 등록된 문화비 소득공제 사업자를 통해 결제한 다음 항목이 공제됩니다.

    ✅ 도서, 공연티켓, 박물관·미술관 입장권

    ✅ 신문 구독권, 영화티켓

    ✅ 수영장, 헬스장, 체력단련장 시설 이용권 (← 2024년 7월부터 포함)

    💯 공제율: 시설 이용료 100% 공제!

    순수한 시설 이용료는 100% 소득공제 대상이며, 연말정산 시 자동 반영됩니다.

    단, PT나 필라테스 등의 교습비는 소득공제 대상이 아니며,
    이용료에 일부 포함된 경우에는 최대 50% 공제만 적용됩니다.

    ※ 헬스장 등록 시 제공되는 이용권에 퍼스널 트레이닝(PT)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
    전액 공제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, 결제 전 반드시 시설 측에 ‘문화비 소득공제 대상 여부’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     

     

    📍 신청은 필요 없습니다!

    📌 별도 신청 없이, 등록된 체육시설에서 카드나 현금영수증 등으로 결제만 하면 자동 반영됩니다.

    📌 해당 내역은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연말정산 시 자동 조회되므로 별도 증빙도 필요 없습니다.

    💳 다양한 결제수단, 모두 인정됩니다!

    문화비 소득공제 등록 사업자에게 결제했다면, 다음 수단은 모두 연말정산 소득공제에 반영됩니다.

    ✅ 신용카드, 체크카드, 선불카드

    ✅ 현금 (현금영수증 발급 必)

    ✅ 간편결제 (카카오페이, 제로페이 등)

    ✅ 온라인 PG 결제

    ✅ 상품권 및 핸드폰 소액결제

    ✅ 일부 지역화폐

    🔎 내 헬스장이 공제 대상인지 확인하려면?

    문화비 소득공제에 등록된 체육시설인지 꼭 확인해야 연말정산에 반영됩니다.

   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 체육시설 검색

     

    📌 지역을 입력하면 지도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시설이 자동 공제 대상입니다.


    💰 헬스장도, 수영장도 세금 혜택의 시대!
    연봉 7천만 원 이하라면, 100% 공제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. 연말정산에서 확실히 챙기세요!

    반응형